韓央行根本沒說「美國施壓」?韓半島新聞直接翻成中文給你看

分享:

近期亞洲多國貨幣,包含新台幣、韓元等兌美元都呈現顯著升值的趨勢。其中,南韓央行行長李昌鏞在談及韓元兌美元的升值走勢時表示,主因為美國政府向亞洲國家施壓,引發軒然大波。對此,韓國半島新聞台將外媒消息翻成中文,強調李昌鏞「坦言美國施壓」為一場誤會。

韓國半島新聞台將外媒消息翻成中文,強調李昌鏞「坦言美國施壓」為一場誤會。(示意圖/美聯社)
韓國半島新聞台將外媒消息翻成中文,強調李昌鏞「坦言美國施壓」為一場誤會。(示意圖/美聯社)

韓半島新聞平台貼文:

各位閱聽眾午安,我是韓半島新聞平台創辦人楊虔豪。韓國銀行總裁李昌鏞,昨天在義大利米蘭參加亞投行年會與韓、日、中財長與央行總裁總會,面對記者所做出的發言,引發台灣媒體的廣泛關注和不同解讀,有媒體直接下表為「美國施壓」,也有有閱聽眾來訊詢問想確認,究竟該如何看待。

由於李總裁並非是在公開錄影的記者會,而是在與記者交流意味更為濃厚的「記者懇談會」發言,所以只能依據現場記者與他的對話與同時速記,來試圖還原完整的內容。但眾家記者們的寫法,有簡明版本,也有比較詳細的,下面我挑選兩家發自米蘭現場的報導文字,翻譯出來。

韓聯社走的精簡快速的路線,而作為國家通訊社,韓聯社的內容被廣泛引用:

이 총재는 원화를 비롯한 아시아 통화가 강세를 보이는 배경으로 "미국이 개별 국가들 만나면서 환율 얘기를 하고 있구나, 그게 알려진 게 하나이고 두 번째는 미중 간 협상 타결 확률이 높아졌구나"라고 요약했다. 그는 "어느 순간 확 바뀌면 환율이 다시 오를 것"이라며 "환율 변동이 끝난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"고 지적했다.

面對包括韓元在內的亞洲貨幣強勢走升的背景,李總裁歸納道:「目前所知,是美國與個別國家(談判代表)會晤前,言及匯率問題,這是第一點;第二點是,美中之間達成協商結果的機率越來越高。」他並指出:「若某個瞬間(的心態)轉變成如此,匯率就會再度走高,我認為這並不代表匯率波動到此就結束。」

再來是財經報紙《亞細亞經濟》,內文更為詳細,應可避免不必要的誤會。我為方便閱讀,我分段翻譯如下:

이번에 환율이 큰 폭으로 떨어진 건 미국이 개별 국가들을 만나면서 환율 얘기를 하는 것이 환율 절상 압력 시그널로 시장에 읽힌 게 첫 번째고, 두 번째는 미·중 무역 협상 타결 확률이 높아졌다는 기대가 작용한 것"이라며 "이런 심리가 어느 순간 확 바뀌면 다시 변동성을 키우며 올라갈 여지가 있는 것"이라고 짚었다. 미국이 환율에 대해 어떤 걸 요구하고 있고 앞으로 어떻게 움직일지는 아시아 국가에 공통으로 뭘 요구할지, 개별 국가에 따로 요구할지 불분명해서 관련해 기재부와 계속 얘기 중이라고 설명했다. 그는 "우리가 지금 고민하는 건 미국 원하는 게 강달러인지 약달러인지 잘 모르겠다는 것"이라며 "그걸 파악해야 하는 입장이고, 앞으로 몇 주간 더 명확해질 것"이라고 말했다.

李總裁表表示:「這回(美元)匯率會大幅下滑,第一是美國與個別國家(談判代表)會晤並提到匯率問題,而被市場解讀作要求他國貨幣升值的訊號;第二則是外界對美中貿易談判達成協議的期待越來越高所致。若在某個瞬間,轉變為此番心理,就會使變動性增大,就可能導致他國貨幣升值。」

李總裁還說明,面對匯率問題,美國要求為何,往後如何行動,又會對亞洲國家共同要求什麼,對個別國家要求什麼,這些都還不清楚,所以韓銀正持續與計劃財政部研商中。

他還說明:「現在苦惱的是,我們並不清楚美方要的,到底是強勢的美元,還是弱勢的美元,我們的立場是還須掌握,往後幾週,情勢會漸趨明朗。」(工商時報林育萱報導)

※本文授權自工商時報,原文見此

【延伸閱讀】
巴菲特示警:美元「將下地獄」曝加碼1資產會緊抱50年
降息無望?聯準會傳聲筒:在通膨與衰退間,Fed傾向「保通膨」
「震驚全世界」的重大宣布?美媒:川普將為波斯灣改名

留言衝人氣 18則留言

登入留言有機會獲得旺幣哦!
NO MESSAGE 無任何留言,趕緊搶頭香!